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세금정보 및 엑셀서식

2025 프리랜서(삼쩜삼) 종합소득세 모의계산기-직업운동가

by 라이프트리12 2025. 4. 30.
반응형

 

1. 직업운동가의 종합소득세 신고, 어렵지 않아요

매년 5월은 종합소득세 신고의 달입니다.
체육계에서 활동하는 전업 운동가 분들은 보통 프로젝트 단위로 수입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런 수익도 신고 대상일까?” 하는 고민이 생기기 마련이죠.

강습비, 시범경기 수당, 협회 자문료 등 다양한 수입이 발생하는 직업운동가의 경우
모두 **‘사업소득’**으로 분류되어 신고 대상이 됩니다.


2. 단순경비율로 직업운동가 소득 계산하기

  • 업종 분류: 서비스업 / 직업운동가
  • 업종코드: 940904
  • 적용 단순경비율: 54.5%

예를 들어 연간 수입이 2,300만원이라면,
그 중 **1,253만5천원(2,300만원 × 54.5%)**은 필요경비로 간주됩니다.
과세표준은 나머지 1,046만5천원으로 계산됩니다.

여기에서 인적공제, 국민연금 등 보험료 공제를 적용한 후
최종적으로 납부해야 할 세액이 산출됩니다.


3. 직업운동가가 꼭 알아야 할 세무 팁

  • 실제 경비가 더 많다면 장부 신고도 고려하세요
    장비 구매, 연습장 임대료, 스포츠 용품비용 등 실제 지출이 많을 경우
    단순경비율보다는 간편장부를 작성해 신고하는 것이 절세에 유리할 수 있습니다.

  • 수입은 항목별로 구분해두기
    강습 수당, 출연료, 행사비 등 수익이 다양한 경우
    항목별로 정리해 두면 정확한 신고에 도움이 됩니다.

4. 자주 묻는 질문 (Q&A)

Q. 경기 참가비나 대회 수당도 신고해야 하나요?

A. 네. 경기 참가로 받은 수당 역시 ‘사업소득’에 해당하므로 신고 대상입니다.

Q. 협회나 단체에서 받은 활동비도 포함되나요?

A. 협회에서 지급한 수당도 소득으로 간주되며, 원천징수 여부와 상관없이 모두 신고해야 합니다.


5. 종합소득세 계산기 활용 팁

직접 세금을 계산하기 복잡하다면, 종합소득세 모의계산기를 활용해보세요.
수입과 기본공제 정보만 입력하면 예상 세액을 자동 계산할 수 있어
신고 전에 미리 준비하고 계획을 세우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직업운동가_940904.xlsx
0.01MB

 

 

'노란색 Cell'에 데이터를 입력하시면 종합소득세가 자동계산 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