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세금정보 및 엑셀서식

2025 프리랜서(삼쩜삼) 종합소득세 모의계산기-성악가

by 라이프트리12 2025. 4. 25.
반응형

 

1. 성악가의 종합소득세 신고, 어렵지 않아요

매년 5월은 종합소득세 신고의 달입니다.
콘서트 출연, 레슨, 무대 공연 등으로 다양한 수입이 생기는 성악가 분들 중엔
“이런 수입도 신고해야 하나요?” 고민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정기적인 급여보단 프로젝트 단위로 수입이 들어오는 예술 활동 특성상
세금 신고가 다소 생소하고 복잡하게 느껴지기 마련이죠.

이 글에서는 성악 활동을 하는 분들을 위한 단순경비율 방식
실제 세금 예측이 가능한 모의계산기 활용법을 안내드립니다.


2. 단순경비율로 성악가 소득 계산하기

  • 업종 분류: 서비스업 / 성악가
  • 업종코드: 940305
  • 적용 단순경비율: 61.6%

단순경비율이란 실제 지출 증빙 없이도 일정 비율을
경비로 간주해 세금을 계산할 수 있는 간편한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1년 동안 총 2,200만원의 수익이 있었다면
그 중 **1,355만 2천원(61.6%)**은 경비로 처리되고,
나머지 844만 8천원이 과세표준에 반영됩니다.

이 과세표준에서 기본공제, 연금보험료 공제,
기납부세액 등을 차감한 뒤 실제 납부세액이 정해집니다.
복잡한 계산 없이도 모의계산기 파일로 손쉽게 확인 가능합니다.


3. 성악가가 알아두면 좋은 세무 팁

  • 무대의상, 연습실 대여비 등 실제 지출이 더 많다면
    단순경비율보다 간편장부 신고 방식이 세금 측면에서 더 유리할 수 있습니다.

  • 수입 형태를 나눠서 관리하세요
    공연료, 레슨비, 음반 수익 등은 각각 다른 소득 흐름이므로
    정확하게 분류해두면 신고 시 훨씬 깔끔하고 유리합니다.

4. 자주 묻는 질문 (Q&A)

Q. 성악 레슨 수입도 신고 대상인가요?

A. 네. 레슨 수입도 사업소득으로 분류되며,
금액이 적더라도 반드시 신고해야 합니다.

Q. 출연료가 300만원 이하인데도 신고하나요?

A. 성악가 활동으로 인한 수입은 사업소득으로,
300만원 이하라도 무조건 신고 대상입니다.
단, 일회성 상금이나 포상금은 ‘기타소득’으로 분류되어
300만원 이하 시 분리과세 선택이 가능합니다.


5. 종합소득세 모의계산기, 이렇게 사용해보세요

홈택스에서 발급 가능한 ‘사업소득 원천징수영수증’을 기준으로,
총수입, 가족 수, 공제 항목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세금이 계산되는 모의계산기 파일이 제공됩니다.

👇 이 글 하단에 첨부된 엑셀 계산기를 통해
실제 세금 규모를 미리 예측하고 신고 준비를 간편하게 시작해보세요!

성악가_940305.xlsx
0.01MB

 

 

'노란색Cell'에 데이터를 입력하시면 종합소득세가 자동계산 됩니다.
반응형